방정식이란 무엇인가?

방정식의 어원과 쉬운 이해

 

중학교때 처음 접하는 방정식. 많이 접한 단어라 다들 어색하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방정식이라는 단어의 뜻을 물어보면 바로 답이 나오지 않습니다. 저는 이러한 방정식의 이미지를 영어의 도움을 받아 쉽게 풀어 써보려합니다.

참고로 저희 블로그는 전문용어나 수학적 용어의 사용을 최대한 줄여 모든 사람이 보기 쉽고 이해하기 쉽게 제작하려 합니다.

방정식은 영어로 Equation 입니다.

Equation은 라틴어 aequare (make equal) 이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어, 다시 라틴어 aequatio 와 영어 equate 의 단어가 합쳐서 후기 중세영어 (late Middle English) 시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럼 방정식이라는 단어의 어원은 어떻게 될까요?

방정식의 방정(方程)은 고대 중국의 산학서인 구장산술의 여덟 번째 장의 제목인 方程에서 유래하였다. 여기서 方은 연립방정식의 계수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배열한다는 뜻이고, 程은 이렇게 배열한 계수를 조작하여 해를 구하는 과정을 뜻한다- 출처

모두 예상했던대로 순 우리말은 아닙니다.
한자에서 유래된 단어임에 한번에 와닿지 않습니다.
그럼 영어 단어를 살펴보겠습니다.

방정식의 사전적 정의는

a statement that the values of two mathematical expressions are equal.

두 식의 값이 같다, 동등하다는 뜻이며

더 나아가 수학적인 요소를 더하여,
미지수가 포함된 식에서, 미지수에 특정한 값을 넣었을때 성립하는 등식(equality)입니다.

다시한번 쉽게 풀어보자면,
모두 Equal 이라는 단어를 한번씩은 접해보셨을겁니다.
같은, 동등한 이라는 뜻을 가진 이 단어를 생각하면 Equation 이라는 단어를 봤을때 딱 느낌이 와닿지 않으신가요?

 

오늘은 방정식의 정의와 이 단어를 영어로 이미지화 해보았습니다.

유명한 아인슈타인의 질량 에너지 등가 법칙도 방정식으로 이루어져있고 모든 수학엔 방정식이 불가피하게 들어갑니다!
이러한 중요한 기초인 방정식을 머릿속에 영어를 통해서 이미지화 시켜 쉽게 이해해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도 기대해주세요!

 





+ Recent posts